5. Cayley-Hamilton theorem




케일리-해밀턴 정리
Cayley-Hamilton theorem


"행렬의 거듭제곱을
아주 쉽게 구할 수 있어요"

" the easiest way
to find powers of a matrix "







최근 들어, 행렬의 거듭제곱의 문제들은, n 행렬을 n = 1 부터 하나씩 계산해 , 규칙성을 찾아내는 유형들이 많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는 케일리-해밀턴 정리가 표준 교과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문제 유형에서 행렬의 거듭제곱 계산을 편리하게 있도록 활용되는 원리입니다.


원리를 이용한 유형은 대부분 곱셈공식이나 인수분해가 가능한 문제들로, 혼합 연계된 형태로 자주 출제되고 있습니다또한, 정리는 앞으로 배우게 역행렬의 연계형 문제에서도 자주 활용되니까, 확실하게 이해하고, 외워 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현재 1부터는 [행렬] 단원을 개정된 표준교과에 따라, 배우지 않습니다만, 심화유형의 수열이나 벡터에서는 행렬의 기본개념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아 두기 바랍니다.

[행렬] 단원은 고등과정 교과표준에 따라 (2×2) 행렬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스마트폰에서 수학 수식을 보시려면왼쪽 버튼을 누른 
[데스크톱 보기 설정하세요.

You can read math equations,
by selecting [desktop view] on the mobile.

               






행렬 A =\(\left( {\begin{array}{*{20}{c}}a&b\\c&d\end{array}} \right)\) , 아래의 값을 계산해 볼까요?

When A =\(\left( {\begin{array}{*{20}{c}}a&b\\c&d\end{array}} \right)\), let's calculate the following equation :


A2 – (a + d) A + (ad – bc) E


=\(\left( {\begin{array}{*{20}{c}}a&b\\c&d\end{array}} \right)\) \(\left( {\begin{array}{*{20}{c}}a&b\\c&d\end{array}} \right)\) – (a + d) \(\left( {\begin{array}{*{20}{c}}a&b\\c&d\end{array}} \right)\) + (ad – bc) \(\left( {\begin{array}{*{20}{c}}1&0\\0&1\end{array}} \right)\)


=\(\left( {\begin{array}{*{20}{c}}{{a^2} + bc}&{ab + bd}\\{ac + cd}&{bc + {d^2}}\end{array}} \right)\)–\(\left( {\begin{array}{*{20}{c}}{{a^2} + ad}&{ab + bd}\\{ac + cd}&{ad + {d^2}}\end{array}} \right)\)

+\(\left( {\begin{array}{*{20}{c}}{ad - bc}&0\\0&{ad - bc}\end{array}} \right)\)


= \(\left( {\begin{array}{*{20}{c}}0&0\\0&0\end{array}} \right)\) = O



위의 결과인 A2 – (a + d) A + (adbc) E = O '케일리-해밀턴 정리' 라고 하고, 행렬의 거듭제곱 계산에서 매우 편리하게 활용됩니다.

This equation is always equal to zero matrix and is known as the Cayley-Hamilton theorem, which is a very useful tool in calculating powers of square matrix.


*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2 x 2) 단위행렬을 ‘E’ 라고 표현하지만, 영미권 국가에서는 ‘I2라고 표현합니다.

* For your reference, most English math books use 'I2' ('E' in Korean) to represent the identity matrix of size 2 x 2.




예를 들어, 행렬 A =\(\left( {\begin{array}{*{20}{c}}1&2\\3&4\end{array}} \right)\) , A4 값을 한번 계산해 볼까요?

As an example, let's simplify A4 in terms of A and E(=I2), when A =\(\left( {\begin{array}{*{20}{c}}1&2\\3&4\end{array}} \right)\).



케일리-해밀턴의 , A2 – 5A – 2E = O 적용해서 아래와 같이 단계씩 차수를 낮추어 나가면 됩니다.

We can reduce the exponent of matrix A, by applying the Cayley-Hamilton equation, A2 – 5A – 2E = O, as follows :


A4

= (A2)2

= (5A + 2E)2

= 25A2 + 20A + 4E

= 25(5A + 2E) + 20A + 4E

= 145A + 54E

= 145\(\left( {\begin{array}{*{20}{c}}1&2\\3&4\end{array}} \right)\) + 54\(\left( {\begin{array}{*{20}{c}}1&2\\3&4\end{array}} \right)\)

= \(\left( {\begin{array}{*{20}{c}}199&290\\435&634\end{array}} \right)\)





비슷한 연습 문제를 하나 풀어 볼까요?

Let's try to solve a similar exercise.





A = \(\left( {\begin{array}{*{20}{c}}1&0\\3&2\end{array}} \right)\) 라고 , A4 – 2A3 + 3A2 + A A E 만으로 간단하게 표현하여라.

When A =\(\left( {\begin{array}{*{20}{c}}1&0\\3&2\end{array}} \right)\), simplify A4 – 2A3 + 3A2 + A in terms of A and E(=I2) only.





(1) 우선, 케일리-해밀턴 정리를 이용하면, A2 = 3A – 2E 이니까, 차수를 하나씩 낮추어 나갈 있겠지요?

We can reduce the powers of a matrix by applying the Cayley-Hamilton equation A2 = 3A – 2E, as shown below.


A4 – 2A3 + 3A2 + A

= (3A – 2E) 2 – 2A(3A – 2E) + 3(3A – 2E) + A

= 3A2 + 2A – 2E

= 3(3A – 2E) + 2A – 2E

= 11A – 8E





이번에는, 삼차방정식 x3 = 1 성질과 매우 유사한, 행렬 방정식의 유형을 살펴 보도록 합니다.

Now, we're going to examine matrix equation types that is quite similar to the cubic equation x3 = 1.





여기서 잠깐, 가장 간단한 삼차방정식 x3 – 1 = 0 복습해 보도록 할까요?

Here, let’s review the simple form of cubic equation, i.e., x3 = 1.



(1) 우선, 삼차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는 것이 좋겠지요?

First, we’d like to factorize the left side of this equation.



아래의 인수분해 공식에서 a b 대신에 x 1 각각 대입하면,

If we substitute a and b with x and 1 respectively, in the following factorization formula,


a3b3 = (ab)(a2 + ab + b2)


x3 – 1 = (x – 1)(x2 + x + 1)



이제, 삼차방정식의 좌변이 인수분해 되니까, 근의 공식을 이용해서 쉽게 해를 구할 있습니다.

Now, we factorized the left side of this equation and accordingly, we can easily apply the quadratic formula as well.


x3 – 1 = (x – 1)(x2 + x + 1) = 0

∴   (a)  x – 1 = 0  or  (b)  x2 + x + 1 = 0



(2) 따라서, (a) x – 1 = 0 식에서 실근인 x = 1 구해지고,

Therefore, we get real solution x = 1 from the equation (a) x – 1 = 0 and,


(b) x2 + x + 1 = 0 에서 2 개의 허근을 합하여, 모두 개의 해를 구해낼 있습니다.

We get two more complex conjugates, \(\omega \) & \(\overline \omega \) from the equation (b) x2 + x + 1 = 0.


x\(\frac{{ - 1 + \sqrt 3 i}}{2}\) = \(\omega \)
or
x\(\frac{{ - 1 - \sqrt 3 i}}{2}\) = \(\overline \omega \)



(3) , \(\omega \) \(\overline \omega \) x3 – 1 = 0 이라는 삼차 방정식의 해이기도 하니까,

Here, \(\omega \) and \(\overline \omega \) are also the roots of x3 – 1 = 0.


\(\omega \)3 = \(\overline \omega \)3 = 1





바로 이러한 원리로, x2 + x + 1 = 0 이라는 식이 주어졌다면, x3 = 1 성립합니다.

According to this underlying principle, if x2 + x + 1 = 0 is given, then x3 = 1.



마찬가지 방법으로, x2x + 1 = 0 이라는 식이 주어졌다면, x3 = – 1 만족해야 합니다. 워낙 고등수학 전반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성질이니까, 반드시 외워두기 바랍니다.

In the same way, if x2x + 1 = 0 is given, then we can also conclude that x3 = – 1.





A E 로만 이루어진 행렬식에서는, 실수에서 배운 곱셈공식과 인수분해 공식이 그대로 적용되니까, 위에서 복습했던 삼차방정식 x3 = 1 성질도 그대로 활용됩니다.

If the matrix equation consisted of A's and E's only, then it satisfies all algebraic formulas, including the properties of this cubic equation x3 = 1.


행렬에서는, 실수에서의 1 같은 곱셈의 항등원이 E 되니까, 위에서 복습했던 내용을 아래와 같이 행렬의 공식으로 바꿀 있습니다.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identity matrix E(=I2) is the same as the multiplicative identity '1' in its logical sense, we can rephrase what we have examined as follows :





(1) if A2 + A + E = O,     then A3 = E

(2) if A2 – A + E = O,  then A3 = – E








그럼, 관련된 예제를 풀어 볼까요?

Then, let's try to solve a related example.






A = \(\left( {\begin{array}{*{20}{c}}1&1\\{ - 1}&0\end{array}} \right)\) , A1000 + A999 + A998 + A997 구하여라.

Solve A1000 + A999 + A998 + A997, when A =\(\left( {\begin{array}{*{20}{c}}1&1\\{ - 1}&0\end{array}} \right)\).






(1) 우선, 케일리-해밀턴 정리를 적용하면, A2 – A + E = O 이니까, 앞에서 정리했던 대로 A3 = – E.

From the Cayley-Hamilton theorem, we get A2 – A + E = O and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A3 = – E, as we summarized on the above.



(2) 대입해서 계산하면, A999 = (A3) 333 = – E 되니까, 준식에 대입하면,

Substituting A3 = – E, we can simplify the equation,


A1000 + A999 + A998 + A997

= – A – E + A2 + A



(3) 그런데, A2 – A + E = O 라고 했으니까,

Again, if we apply A2 – A + E = O,


= – A – E + (A – E) + A

= A – 2E



따라서, 답은 \(\left( {\begin{array}{*{20}{c}}{ - 1}&1\\{ - 1}&{ - 2}\end{array}} \right)\).

Accordingly, the answer is \(\left( {\begin{array}{*{20}{c}}{ - 1}&1\\{ - 1}&{ - 2}\end{array}} \right)\).




위의 공식은 앞으로 배우게 역행렬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매우 중요한 내용이니까, 확실하게 이해해 두고, 반드시 외워 두기 바랍니다.







Comments

  1. 잘 봤습니다. 밑에 영어로 서술하신 부분도 위의 한글과 비교하면서 보니 모르는 어휘도 알게 되고, 또 미국에서는 저런식으로 영작하는 것도 보니 여러모로 도움이 된 것 같네요 이런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ReplyDelete
  2. 계속해서 내용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많이 이용해 주세요

    ReplyDelete

Post a Comment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6. converse of Cayley-Hamilton theorem

1. linear function graphs (y = k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