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a matrix A ≠ O such that A^3 = O
A3 = O 이고 A ≠ O인 행렬
a matrix A ≠ O such
that A3 = O
"특수한 행렬의 성질은
그 유도과정까지 아예 외워두는게 좋아요"
" it’s better to memorize
specific properties
to be prepared for exams "
원래 행렬을 배우는 표준 수학의 본질에서는 다소 벗어나 있지만, 우리나라 고3의 수능이나 모의고사 문제에서는, 행렬의 연산에서 지나치게 어려운 유형이나 진위 유형이 자주 출제됩니다.
특히, A3 = O 인 행렬의 성질에 관한 응용 문제들은 [행렬] 단원의 심화 유형에서 자주 출제되고 있습니다. 실전 응용력을 키우기 위하여는, 그 결과만이 아니라 유도 및
증명과정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현재 고 1부터는 이 [행렬] 단원을 개정된 표준교과에 따라, 배우지 않습니다만, 심화유형의 수열이나 벡터에서는 행렬의 기본개념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아 두기 바랍니다.
이 [행렬]
단원은 구 고등과정
교과표준에 따라 (2×2) 행렬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
♧
♧
♧
♧
스마트폰에서 수학 수식을 보시려면, 왼쪽 버튼을 누른 후
[데스크톱 보기] 를 설정하세요.
You can read math equations,
by selecting [desktop view] on the mobile.
♧ ♧
♧
♧
♧
♧
우선 행렬의 판별식 (또는 ‘행렬식’ 이라고 함) 에 대해서 복습해 보도록 할까요?
Let’s review the
determinant of a matrix first.
정사각행렬 A = \(\left(
{\begin{array}{*{20}{c}}a&b\\c&d\end{array}} \right)\) 에 대하여, 실수값인 ad – bc 를 판별식 (또는 행렬식) 이라고
합니다.
The determinant is a
value of ad – bc,
associated with a square matrix A = \(\left(
{\begin{array}{*{20}{c}}a&b\\c&d\end{array}} \right)\).
D =
det(A) = | A | = ad – bc
(1)
여기서, D = ad – bc = 0
이 되는
행렬 A 는 그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고,
Here, matrix A doesn’t
have an inverse if the determinant D = | A | = ad – bc = 0.
(2)
D = ad – bc ≠ 0
일 때, 그 역행렬
A-1 은 아래와
같습니다.
When the determinant D
= | A | = ad – bc ≠ 0, it has the following inverse matrix.
A-1 = \(\frac{1}{{{\rm{ D }}}}\left( {\begin{array}{*{20}{c}}d&{ - b}\\{ - c}&a\end{array}} \right)\) = \(\frac{1}{{{\rm{ |A| }}}}\left( {\begin{array}{*{20}{c}}d&{ - b}\\{ - c}&a\end{array}} \right)\)
또한, 정사각행렬의 곱에 대한 판별식은 각각의 행렬에 대한 판별식의 곱과 같습니다.
In addition, the
determinant of a matrix product of square matrices equals the product of their
determinants.
det(AB)
= det(A) × det(B)
i.e.
| AB | = | A | x | B |
그러면 이제, (1) A3 = O 이고 (2) A ≠ O 인 두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행렬 A 의 성질에 관해서 공부하도록 합니다.
Then, we’re going to
study a matrix A that satisfies two conditions, (1) A3 = O and (2) A ≠ O.
[ 1 ] A3 = O 이고 A ≠ O 인 행렬 A 는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
This matrix A, defined
above, does not have an inverse because :
(1) 두 행렬이 같으면 그 판별식도 서로 같으므로, 주어진 조건식에서,
If two matrices are
identical, then their determinants have the same value too.
A3
= O
∴ det(A3) =
det(O)
(2) 위 식의 좌변에서, 행렬의 곱에 대한 판별식의 성질을 이용하면,
As mentioned above,
the determinant is multiplicative and accordingly,
det(A3)
= {det(A)}3
∴ det(A3) =
{det(A)}3 = det(O) = 0
(3) 그런데, det(A) 는 실수 값이므로, det(A) = 0. 즉, 행렬 A 의 역행렬은 존재하지 않는다.
Here, det(A) is just a real number value and therefore, det(A) =
0.
이번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서 즉, [귀류법] 혹은 [명제의 대우] 를 이용한 증명을 살펴 볼까요?
We can also prove this
by the ways of [proof by contradiction] or [proof by contraposition].
(1) 만일, 행렬 A 의 역행렬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조건식 A3 = O 의 양변에 역행렬을 곱해 주면,
Let’s assume to the
contrary that this matrix A has an inverse. If this is the case, we can
multiply inverse matrices as shown below.
A3 × (A-1)3 = O × (A-1)3
∴ E = O
(2) 이는 모순이므로, 원래의 명제인 [A3 = O 인 행렬
A 는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 는 참이 됩니다.
This leaves us with a
contradiction and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is matrix A does not have an
inverse.
[ 2 ]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A3 = (a +
d)2A 가 성립한다.
If this matrix A doesn’t
have an inverse, then A3 = (a + d)2A
(1)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면, 판별식 D = det(A) = ad – bc = 0 가 된다는 것을 앞에서 복습했지요?
We already reviewed
that the determinant | A | = det(A) = ad – bc
= 0 if A-1 doesn’t exist.
(2)
따라서, 앞에서 배운 [케일리-헤밀턴 정리] 에서,
Accordingly, we can
reshape the Cayley-Hamilton equation as follows :
A2 – (a + d)A + (ad – bc)E
= A2 – (a + d)A = O
∴ A3 = A2 x A
= (a +
d)A x A
= (a +
d)A2
= (a +
d)2A
[ 3 ] 따라서, A2 = A3 = ⋯ = An =
O 이 된다.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A2 = A3 = ⋯ = An = O.
(1) 위의 식에 대입하면, 주어진 조건에서,
If we apply given
conditions to the equation, then :
A3 = (a + d)2A = O
∴ a + d = 0 or A = O
(2)
따라서, A ≠ O 이라 하더라도
a + d = 0 이 되므로,
We get a + d = 0 even when A ≠ O and
accordingly,
A2 = (a + d)A = 0 x A = O
(3)
뿐만 아니라, A ≠ O 이라
하더라도 An = O (n ≥ 2).
In addition, we can conclude
An = O even when A ≠
O (n ≥ 2).
An = An-2 x A2
An = An-2 x (a + d)A
An = An-3 x (a + d)A2
An = An-3 x (a + d)2A
⋮
An = (a + d) n-1A
∴ An =
0 x A = O
그러면 하나의 공식으로 정리해 둘까요? 실전 응용력을 키우기 위하여는 이 결과만이 아니라 유도 및 증명 과정까지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Let’s summarize, in
general term, what we have learned then. Please try to remember the logical
proof procedures as well as the simple result.
An = O (n
≥ 2) 이고 A ≠ O 인 행렬 A 에 대하여,
For any square matrix A
such that An = O (n ≥ 2) and A ≠ O,
(1) A
의 역행렬은 존재하지 않는다
A-1 does not exist.
(2) An = (a + d)n-1A
(3)
a + d = 0
(4) ∴
An =
O (n ≥ 2)
보기 문제를 하나 풀어 볼까요?
Let’s try a worked example.
A5 = O 이고 A ≠ O 인 2 x 2 정사각행렬 A 에 대하여, A2 = O 의 진위 여부를 주관식 서술형으로 판별하여라.
Determine
whether A2 = O is true or not when 2 x 2 square matrix
A satisfies the conditions, A5 =
O and A ≠ O.
(1) 위에서 공부했던 대로, 행렬 A 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케일리-헤밀턴 정리] 를 이용하면,
A-1 does not
exist and accordingly, if we reshape the Cayley-Hamilton theorem,
ad – bc = 0
∴ A2 = (a + d)A
(2) 이 결과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If we apply given
conditions to the equation and simplify,
A5 = (a + d)4A = O
∴ a + d = 0
∴ A2 = (a + d)A = 0 x A = 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