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linear function (y = a x + b)



차함수 y = a x + b
slope-intercept form : y = ax + b


"y 절편을 찍은 다음,
기울기 그리기 방법대로 하면 되요"

" plot y-intercept first,
and rise over run "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일차 비례식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는 가장 기초적인 내용부터, 중학과정에서는 포물선과 직선 그리고 고등과정에서는 다항함수의 곡선과 직선의 관계까지 다양하게 응용되는 단원입니다.

문과 고등학생 중에는 직선의 그래프도 제대로 그려서 쩔쩔매는 모습을 자주 봅니다. 수학실력의 차이는, 함수와 그래프에서 비롯된다 정도로 중요하니, 기초부터 확실하게 다져 두기 바랍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문과라 하더라도 고등과정의 다항함수의 미적분까지 중고등 수학 전반에서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스마트폰에서 수학 수식을 보시려면, 왼쪽 버튼을 누른
[데스크톱 보기] 설정하세요.

You can read math equations
by selecting [desktop view] on the mobile

               





y = 2x 그래프는 기울기가 2 이고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라고 배웠던 것을 기억하고 있겠지요? 이번에는 y = 2x + 1 그래프를 공부해 보도록 합시다.

We've learned that the graph of y = 2x is a straight line. It passes through the origin (0, 0) and its slope is 2. This time, we're going to study the graph of y = 2x + 1.


지난 번과 같이, x 값에 따라 정해지는, y 값들의 순서쌍의 일부를 표로 나타내 볼까요?

Let's make the table of ordered pairs of (x, y) that satisfy y = 2x + 1.


x
– 3
– 2
– 1
0
1
2
3
y
–6+1
–4+1
–2+1
0+1
2+1
4+1
6+1



위에서 구한 y = 2x + 1 순서쌍인 … (–3, –5), (–2, –3), … , (3, 7) … 들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빨간색 직선 위의 점들로 표시됩니다.

If we plot (x, y) pairs such as … (–3, –5), (–2, –3), … , (3, 7) … on the coordinate plane, then these pairs will represent the points on a red straight line as shown below.


따라서, y = 2x + 1 만족하는, 무수히 많은 (x, y) 순서쌍들을 모두 표시하면 아래 그림의 빨색 직선이 됩니다. 지난 번에 배웠던 y = 2x 그래프와 평행이지요?

Therefore, infinite solution pairs of y = 2x + 1 on the coordinate plane, they will represent a red straight line as shown below. Can you see that y = 2x + 1, a red line, is parallel to y = 2x, a blue line passing through the origin?





다시 살펴보면, 함수식 y = 2x + 1 y 값들은, y = 2x 때의 y 값들 보다  1 만큼 크니까,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y = 2 x 라는 직선 위의 점들 보다, 모두 1 칸씩 위에 찍히게 됩니다.


It means that we can draw y = 2x + 1 graph, by moving all points on y = 2x line up by one unit because y values in solution pairs of y = 2x + 1 are always one unit larger than those of y = 2x.


, 빨간색의 직선 y = 2x + 1 y = 2x 위로 1 만큼 평행이동시킨 결과가 됩니다.

In other words, we can sketch y = 2x + 1 line as a parallel translation by +1 along the y-axis.




이제, 공부한 것을 문자를 써서 정리해 볼까요?

Now, we can summarize what we have learned as follow :




일차함수 y = ax + b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는 직선 y = ax 그래프를 평행이동시키면 됩니다.

We can draw y = ax + b line graph as a parallel translation of y = ax.

(1) b 양수 (+) 때는,    위로 b 만큼 평행이동
moves up by ' '         if  > 0               

(2) b 음수 (–) 때는, 아래로 b 만큼 평행이동
moves down by ' '     if  < 0               







예를 들어, y = ax + 3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는 직선 y = ax 위로 3 만큼 평행이동시키면 된다는 원리를 알아냈으니까, 쉽고 간단하게 그려낼 있는 방법 대해서 조금 공부하도록 할까요?

Having learned that y = ax + 3 line is a parallel translation of y = ax + 3 by moving up 3 units, let's find out more convenient and easier way to draw this line.


직선 y = ax 그린 다음, 다시 위로 3 만큼 평행 이동한 y = ax + 3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도 나쁘지는 않지만, 2 개의 직선을 그려 내야 한다는 점이 조금 불편할 수도 있겠지요?

Drawing the parallel line is not a bad idea, but we'll have to draw two lines altogether.


따라서, 좋은 방법은, 머리 속에서 평행 이동하는 과정을 이미지로 미리 떠올려 다음에,

If we're just able to imagine the process of parallel translation, a better way to draw is :


(1) 평행 이동이 완료된 후에, y 축과 만나는 점인 y 절편 (0, 3) y 위에 찍습니다.

First of all, plot y-intercept (0, 3) on y-axis.


(2)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똑같으니까, 앞에서 배운 [기울기 그리기 방법] 대로 새로운 점을 찾으면 되겠지요?

Two parallel lines have the same slope and therefore, find the other point using [rise over run] method.


(3) 절편 (0, 3) 에서 출발해서, [(분모인) 오른쪽으로 ] 움직일 , [(분자인) 또는 아래로 ] 이동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표시합니다.

Starting from y-intercept (0, 3), move along the path of [rise over run] to find new point.


(4) y 절편과 새로 찾아낸 점을 연결하면 직선의 그래프가 완성됩니다.

Connect the new point and the y-intercept (0, 3), then this straight line will be the unique solution.


점을 연결하는 직선은 오직 하나이니까, 여러 덧칠하지 말고 가급적 번에 그려 내면 됩니다. 쉽고 빠르게 정확한 직선을 그려내기 위해서는 부단한 연습을 해두기 바랍니다.




실제로 직선 y = \(\frac{2}{3}\)x + 2 같이 그려 보도록 할까요?

As an example, let's sketch the graph of y = \(\frac{2}{3}\)x + 2.


(1) 제일 먼저, y 절편인 (0, 2) y 위에 찍습니다.

First of all, plot y-intercept (0, 2) on y-axis.


(2) y 절편을 찍은 점에서, 기울기를 \(\frac{2}{3} = \frac{{ + 2}}{{{\rm{ }} + 3{\rm{ }}}}\) 해석하여, [(분모인) 오른쪽으로 3 ] 움직일 , [(분자인) 위로 2 ] 이동한 로운 (3, 4) 찾아냅니다.

Interpret the slope \(\frac{2}{3} = \frac{{ + 2}}{{{\rm{ }} + 3{\rm{ }}}}\) as 'rise 2 over run 3'. Move 3 units to the right and 2 units up from the point (0, 2). Then you will find a new point (3, 4).


(3) 절편 (0, 2) 아래 그림에서 초록색 점선으로 표시된 방법으로 찾아낸 새로운 (3, 4) 연결하는 직선을, 여러 덧칠하지 말고, 가급적 번에 그리면 됩니다.

Connect the straight line that passes through (0, 2) and (3, 4) as shown below :







어느 정도 익숙해진 다음에는, 추가로 배수가 되는 점들 , [오른쪽으로 6] , [위로 4] 등을, 또는 반대로 음수 (–) 곱해서, [왼쪽으로 6] , [아래로 4] 등을 활용하면, 보다 쉽고 정확하게 그려낼 있습니다.

If you feel comfortable in sketching, after hard practices, then you draw more accurately by using ± multiples of slope, such as \(\frac{{{\rm{ }} + 6{\rm{ }}}}{{ + 9}}\) or even \(\frac{{{\rm{ }} - 4{\rm{ }}}}{{ - 6}}\).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분모를 자연수 (+) 하는 기약분수 고치는 이유는, 왼쪽이 아니라 오른쪽을 표준으로 하기 위해서 입니다. 직선의 그래프에 완전히 익숙해 지기전까지는, 항상 [(분모인) 오른쪽으로 ] 움직일 , [(분자인) 또는 아래로 ] 간다고 해석해서 그리기 바랍니다.

반드시 이렇게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초가 부족한 학생은 처음부터 방법으로 숙달을 놓으면, 쉽고 빠르게 직선의 그래프를 그릴 있으니,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기울기와 절편에 양수 (+) 음수 (–) 여러가지 기약분수의 숫자를 대입해 보면서, 스스로 그래프를 그리는 연습을 충분하게 해두기 바랍니다.

I'd like to recommend you to practice hard, by replacing the slope or y-intercept with different fractions or negative values.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6. converse of Cayley-Hamilton theorem

1. linear function graphs (y = k x)

5. Cayley-Hamilton theorem